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ohn Hejduk존 헤이덕_Mask of Medusa_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개관 7
    건축 Architecture 2020. 7. 8. 05:09
    반응형

    14/Paragraph

    천상의 것으로 여겨지던 진리와 본질은 엉망이 되어있었고 헤이덕의 작품은 이것들을 직면하는 역할과 분위기를 만든다. 하지만 그것들의 성숙과 신성함을 가져오기에는 아직 갈길이 멀다.

     

    Finally, what are the wings of this “heart of space” which years ago still seemed to belong to terrestrial angels singing of the One, but are now associated with the millstones of a cerebrum that grinds out of its own fleshly substance, the sound of the Many? Questions multiply at a prodigious rate as John Hejduk’s work brings to the fore the fruits of its maturity. They fall. It must be the time of Autumn, of clearing, when architecture is seen in the chilly but pellucid atmosphere – in unsentimental splendor.  No one could predict the creative developments which, in the years separating the Venice Trilogy from the Berlin Masques, would overshadow the tree itself. This architecture, like a root firmly implanted in the heart, has in blossoming forth given birth to these offspring : Dionysiac riddles, Orphic dithyrambs, the analogy of Names. His work in growing thus into its own has not only managed to protect an inaccessible territory, but has conferred upon it the prestige of a daemon. For the shadows it casts over the earlier, iconic projects, return it from a sojourn in the visible to a demonic darkness of history that is not to be dispelled by a call for “mehr licht.”

     

    이러한 우주의 심장의 날개는 무엇일까? 그것은 동안 신을 노래하는 지상의 천사들에게 속해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것 자신의 세속적인 물질을 갈아버리는 대뇌의 맷돌에 관련되 있어 보인다. 헤이덕이 서막을 가져온 것처럼 질문은 엄청난 속도로 그것의 성숙의 열매를 증가시킨다. 그들은 추락한다. 그것은 건축이 차분하면서 명료한 분위기 처럼 보이는 감성적이지 않은 명확한 가을의 시기이다. 베를린 마스크로 부터 베니스 트릴로지로 부터 분리되는 시간동안 어느 누구도 그러한 나무 스스로를 통해 빛을 가리우는 창의적인 발전은 예견하지 못할 것이다. 본질에 깊게 뿌리내린 건축은 이들의 자손을 탄생시키면서 꽃피운다. (디오니시아적 수수께기와 오르페우스적 찬양가, 신들의 비유). 이렇게 자생적으로 성장한 그의 노력은 접근하기 어려운 영토를 간신히 보호해 왔을 아니라 한편으로는 악마의 위격을 부여했다. 초기에 그림자가 덮힌 초기의 상징적인 프로젝트들 때문에, 건축은 메르 리히트라는 주문으로 추방되지 않는 역사의 악마적 암흑기가 목격되는 체제로 회귀한다

    15/Paragraph

    하지만 헤이덕이 드러낸 추잡함과 그의 작업으로 드러난 새로운 담론은 서로 역설적인 완벽한 조합이 이루어진다.

     

    The center of dwelling – be it called hearth, home, or place – differentiates the deeply structured existential ambiguity which has always been Hejduk’s concern. The relation between self-enclosing permanence of dwelling which is stabilized in his early works and the dynamic space which mobilizes discourse in his late works, establishes the ambivalent character of architecture itself. In the Greek depictions of Hestia – goddess of the hearth, and Hermes – god of travellers, this duality is manifested by a coupling of the two, not a proper marriage. The goddess of the domestic altar complements the god whose function it is to guide a stranger on his way. Each supplies the other’s lack. Hestia gives Hermes the inner blackness of Fire and in return receives, from the one who went outside, a white message from beyond. In turn, the messenger brings to the Hearth the kindling matter that will illuminate discourse, incinerating in its path the dreariness posed by domestic affairs.

    가정, 또는 그런 장소로 불리는 거주의 중심은 헤이덕이 항상 염려해온 깊게 구조화된 존재적 모호함을 구별한다. 그의 초기작과 후기 작품에서 담론을 격렬하게 만든 역동적 공간에서 안정화된 스스로 에워쌓인 거주의 영속성 사이의 관계는 상반된 건축 스스로의 성격을 세웠다. 가정의 여신 헤스티아와 여행의 헤르메스에 대한 그리스의 묘사에서 이러한 이중성은 적절한 짝맞춤이 아닌 커플링으로 표현된다가정 제단의 여신은 낯선 사람을 인도하는 것이 기능인 신을 보완한다. 각자 상대방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다. 헤스티아는 헤르메스에게 불의 내면의 흑심을 주고 보답으로 밖으로 나간 사람으로부터 너머로부터 하얀 메시지를 받는다. 다시 전령사는 가정에 담론을 비추는 친절한 일을 가져오고, 길목에서 가정사정으로 인한 추잡함을 소각한다.

    Review

    헤이덕의 작품이 이전 시기의 역사들을 모두 부인하고 갈아 엎기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그것이 훌륭한 전환을 맞기 위한 자극제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알려준다. 아직 그 본질과 헤이덕의 정체를 보여주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찬양하는 개념들로 묘사하기에 아직 어떤 정보도 명확히 이해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