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ohn Hejduk존 헤이덕_Mask of Medusa_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개관 5
    건축 Architecture 2020. 5. 29. 23:00
    반응형

     

    10/Paragraph

    헤이덕은 건축의 기성적인 세계와 진정한(?), 새로운 세계의 경계선상에서 둘을 구별할 있는 경계 자체로 존재한다.

     

    A free-flight is always set on an elusive trajectory, for no one has ever seen a bird’s final destiny. In weaving movement at the very center of John Hejduk’s world, the bird acquires a celestial significance, for it controls the rotations of light that are tied to the “spindle body” of his work. The bird channels protean energies, because it is captivated by their transformations – suddenly disappearing and reappearing in the world of matter – as if it was a veritable hinge of space. Capable of uniting itself with mythical entities – because now given over homeomorphically to action as a rite – Hejduk’s late work links up Sky and Earth and elevates them to the silence at the center of the word. When Nietzsche alluded to the secret of birds – in that “thought that comes on dove’s feet guides the world” – he was not inventing a metaphorical trope about the fossilization of transcendence. He was rather reporting a fact. The Hieroglyph or ideogram of the guiding dove’s foot testifies to the lightness involved in touching meaning: a lightness that mediates authentic sense and inauthentic repetition, unutterable sounds, and common echoes, the wall and the mirror.

     

    누구도 새의 마지막 비행을 본적 없기 때문에 자유로운 비행은 항상 규정하기 힘든 궤도에 올라가 있다. 그의 작업의 중심축과 연동하는 빛의 회전을 움직임이 조절하기 때문에 헤이덕의 세계 중심에서 엮인 움직임으로 새는 신성한 중요성을  획득한다. 그것들이 새들의 (물질 세계에서 갑자기 사라지고 다시 나타나는)변형을 통해서 잡히기 때문에 (마치 우주의 진정한 연결쇠처럼) 새의 항로는 변화무쌍한 에너지를 조달한다. 지금은 의식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동형적으로 그만하게 되었기 때문에 신비한 존재와 스스로 결합할 있는 헤이덕의 후기작품은 하늘과 땅을 연결하고 그들을 말의 중심에 있는 침묵이라는 단계(궁극적 상태) 그들을 밀어 올린다. 니체가 새의 비밀을 넌지시 비둘기의 발에 의한 사상이 세계를 인도한다라고 언급했을 그는 초월성의 화성화에 대한 은유적 비유를 발견하고 있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그것은 어떤 주장이 아닌 보고다.) 비둘기의 발이 인도하는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는 감동적인 의미에 결부된 빛을 입증한다.   빛은 진정한 감각과 모조의 반복, 말로 표현할수 없는 소리와 평범한 울림, 벽과 거울을 중재한다. (헤이덕의 작품은 경계에 있다)

    11/Paragraph

    헤이덕은 새로운 건축의 지평을 넘어 아무도 모르는 곳을 향해 항해한다.

     

    Walter Benjamin, too, understood that the egg of experience can be hatched only by a bird. Albeit for Benjamin it was a dream bird of boredom, whereas for Nietzsche it was a predatory eagle of desire which helped hatch it. In either case, however, the assurance born of wings gives measure for decision, since no matter what direction the bird flies in it can never make a mistake. Even its indecisions are only qualifying assurance, its wings beating permanently the drum of a non-existent locale. In Hejduk’s work, the roc sometimes chooses to visit abysmal deserts, desolate regions; without warning one finds it perching on a mysterious cage. Then in a surprising upset one follows it through the heights until it almost disappears from sight beyond a distant mountain range.

     

    월터 벤야민 역시 이해했다 경험의 알은 새를 통해서만 부화될 있음을 벤야민에게 그것은 지루함의 파랑새였지만 니체에게는 알을 부화시키려는 포식자 독수리와 같은 욕망이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비행에 의해 태어난 확신은 새가 어디로 날아가도 실수가 없기 때문에 결정의 척도를 제시했다. 존재하지 않는 무대의 북을 영원히 울리고 있는 그것의 날개짓, 심지어 움직임의 망설임이 단지 증언에 명분을 줄지라도헤이덕의 작업에서 괴조는 아무런 경고없이 의뭉스러운 앉을 있는 횟대를 발견함에 대한 경고없이 때때로 깊은 사막과 고립된 지역을 여행하기 선택한다. 그러면 놀라운 불편한 상황에서 멀리있는 산맥을 넘어서 시야에서 사라질 때까지 높은 곳으로 그것을 따라간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