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ohn Hejduk존 헤이덕_Mask of Medusa_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개관 6
    건축 Architecture 2020. 6. 3. 22:40
    반응형

     

    12/Paragraph

    헤이덕 혼자만의 움직임은 충분하지 않을 있지만 그는 자신이 출발선 임을 알기에 절망하지 않는다.

    Yet one knows that the mere rustling of leaves is sufficient to drive the bird from the countryside. The echoing sounds of jack-boots resounding on the pavements of a city are the sure omen of its portentous disappearance. But John Hejduk does not lament, because he knows the Chinese legend according to which the bird’s disappearance from the visible is a departure homeward; An arrival of the bird in the eye’s dormant hollow that was its original destination – the whiteness lodged in an oblique gaze.

     

    그러나 작은 바스락거리는 나뭇잎들로는 새들을 시골에서 이끄는 것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도시의 가로에 울려퍼지는 부츠의 메아리는 그것의 전조가 되는 확실한 징후다. 그러나 헤이덕은 애통해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는 새의 보이지 않게 사라짐은 집으로 향하는 출발이라는 중국의 전설을 알기 때문이다. 뜨여있지 않는 눈에서 새의 도착은 그것의 출발지처럼 공허하기에 순수함은 뜨여있는 시선에 맡겨두었다.

     

    13/Paragraph

    헤이덕은 움직임을 어떻게 나올 있었을까?

    Where is this bird to be found now? Is the bird traversing John Hejduk’s domain at once everywhere and nowhere, the world and the eye? Is it perhaps related to the birds of Braque or Van Gogh – birds which in becoming the fourth dimension of space, show matter itself as dismally ruptured by flight? Is this flight a metaphysical stenography having time as its datum and instinct as fulcrum? Is Hejduk’s work responding to the splintering of dwelling – as if the perforation of space into mathematically coordinated absences thus ventilated architecture from the perspiration of a hardening corpus?

     

    지금 새는 어디서 찾을 있을까 한때 헤이덕의 영역 어디에서든 새는 가로지르고 있을까? 세계는? 아니면 시선은아마도 브라크 혹은 고흐의 새이지 않을까? 사차원 세계에서 새들은 비행을  통해서 불안한 파열을 만드는 문제 자체를 보여준다 비행은 지주로써의 순간과 본능으로써의 시간에 대한 형이상학적 기록인가? 마치 수학적으로 조직된 부재 속에서 우주의 천공이 언어를 경직시키려는 노력으로부터 건축을 순환시켰던 것처럼 헤이덕의 작업도 거주의 분열에 대한 반응일까?

    Review

    다니엘의 헤이덕에 대한 언어는 의도적으로 어렵게 쓰여진 것처럼 보일 정도로 모호하고 애매하다. 하지만 그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다니엘은 건축의 맹목적인 혹은 몰시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헤이덕의 건축이 가진 새로운 시선은 돌아가야 할 건축의 방향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 실마리로 제시한다. 반 고흐의 시선이 그러했고 브라크의 시선이 그러했음을 알려준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