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ohn Hejduk존 헤이덕_Mask of Medusa_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개관 2
    건축 Architecture 2020. 5. 11. 09:58
    반응형

    Libeskind의 Introduction

    3/Paragraph

    지금 시대의 건축은 변했고 그의 건축도 흐름(세속적이고 경제적이라고 이해되는 건축의 기술을 중요시하는) 따라 변했다.

     

    All this is now history. As children of a 2000 year-old Reneaissance, we are remote from an architecture that shunned originality and anathemized the maker of semblances as a pseudo-architect. Today technique acts as an independent mental symbol – at once secular and economic. Freed from tradition, architecture dispenses with the prestige of magic and wonder once associated with its being, and enters a social realm that now defines a priori, its function. In thus entering the immanent realm, it brings the architect into servitude on behalf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spheres. He is now expected to provide a service – since he works for money – one whose value moreover is to be measured by economic exigencies. He labors at a job; his work is a product for consumption. 

     

    모든 것은 지금 역사다. 2000년의 르네상스의 총아로 우리는 독창성을 피하고 짝퉁 건축가로써 유사성만 만들어내는 생산자를 저주하는 건축과 떨어져 있다오늘날 한때는 세속적이고 경제적이라고 이해했던 기술은 독립적인 정신의 상징으로써 역할한다. 전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건축은 한때 그것의 존재에 관련된 신비와 경이에 대한 특권을 버렸다. 그리고 그것의 기능이 선험적인 것으로 정의되는 사회적인 영역으로 들어갔다.  거대한 영역으로 들어 감으로 건축을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권력의 세계를 대표하는 노예제도권으로 데려갔다. 지금은 그는 돈을 위해 일한 이후로 건축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일한다. 더구나 그의 가치는 경제적인 가치에 의해 측정되는 것으로 됬다. 그 직업으로써 일을 하고 그의 작업은 소비를 위한 생산물이다.

     

    4/Paragraph

    헤이덕은 대중에 편승하는 건축에 대하여 저항해 왔다.

     

    What then is one to think of an anomaly: of an architect who refuses to enter into anyone’s service and who remains aloof from the duties of a vassal? John Hejduk has rethought the alienation that plays between techne and poiesis in the sophistic disengagement of the method from content, and by so doing has released this endeavor from a rhetorical role. In seeking the truth-of-architecture, in courageously speaking it through his work – whether it is welcome or unwelcome to an audience – he has refused to make the worse appear better by ignoble flattering of the public.

     

    단순히 누군가의 서비스로 들어가는 것을 거절하고 의무에 대한 굴복을 꺼리려고 하는 건축가는 누구인가?  헤이덕은 내용으로부터 궤변적 해방의 방법에서 Techne Poiesis사이에서 작동하는 소외된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 왔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소외된 그것들은 은유적인 역할로 이러한 노력이 발현되어 왔다. 존 헤이덕은 건축의 진실을 찾고 그의 작품을 통해서 그것을 용감하게 말하는 와중에 환영 받든지 아니든지 대중에 아첨하는 야비함때문에 좋게 보이기 위한 악화를 거절해 왔다.

     

    5/Paragraph

    헤이덕의 건축은 동시대의 건축이 보지못하는 맹점 혹은 세태 때문에 무너진 건축문화의 상처를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In resisting the pressure of opinion about the function of the architect, John Hejduk has recovered a reality of architecture that is impervious to the division between Praxis(knowledge) and Poiesis(Craftsmanship). This emerging truth, linked as it is to an overcoming of the positivist, purely human quest for domination as well as of the blind imitation of chance, inspires his recent work with a radical, one might say an ethical, dimension. In renouncing the solutions of the sophists who seek to invalidate the claims of knowledge in favor of the instrumental technique that can codify success, and those of the craftsmen who are locked into an imitative sacrifice to irrationality, Hejduk has dissolved the antinomy existing between the end and the method of architecture – between its poiema and poiesis. For if architecture is neither an immanent realization that contains nothing other than that which was put into it(ego cogito), nor an impenetrable other superior to its producer or medium, then one is denied a refuge in either the mechanics of method or in form’s transcendent requirements.

     

    단순히 누군가의 서비스로 들어가는 것을 거절하고 의무에 대한 굴복을 꺼리는 건축가는 누구인가? 새로운 진리는 실증주의자, 순전히 지배에 대한 인간의 탐구와 기회의 맹목적인 모방과 연관되어 있으며, 급진적인, 윤리적인 차원이라고 말할 있는 그의 최근 작품에 영감을 준다. 체계화시키는데 성공적인 도구적 기술에 호의적인 지식이 틀렸음을 입증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기에 포기한 소피스트들과 비이성적인 모방적 몰두에 갇혀버린 장인(Craftsmen)들에게서 헤이덕은 종결과 건축적 방법사이(poiema and poiesis사이)에서 이율배반 적인 존재를 분해해 왔다. 건축은 그것 자체로의 내재적인 통찰 이상도 아니고 다른 불가침한 상위 개념(생산자 혹은7 매개체)   이상도 역시 아니기 때문에 형태의 초월적인 조건 혹은 기계적인 방법으로의 피난처는 거부당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