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ohn Hejduk존 헤이덕_Mask of Medusa_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개관 4
    건축 Architecture 2020. 5. 27. 23:30
    반응형

    8/Paragraph

    기존의 건축의 병적인 문제들이 내면화 되면서 떨어질 없는 방식으로 발전해 버렸다. 내면화된 곳에서 헤이덕은 이러한 현상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볼 있었다.

     

    To stalk Hejduk’s work across intimate frontiers and strange landscapes is indeed to be following a rare, unpredictable, elusive bird: one whose indifference to routine is matched by a wary enthusiasm for the terrestrial. His work points to a realm whose recuperation in an elsewhere that has today become discharged into the organism. “In reality, we are living as parasites of a host animal whose make-up determines ours and vice-versa”(Novalis). In receding from the horizon of awareness, this elsewhere may perhaps appear as visceral bacillus or a parasite that, lodged in the body, exacts obeisance. But in becoming internalized, the very logos of architecture appears as nourished by an infinitesimal plasmodium – one capable of eventually turning dwelling into an irrational fever. Such a crisis has been predicted in the past. Yet Hejduk is unique in experiencing the progress of this infection as having an architectural equivalent: self-reproducing architecture mirrored in the pathology of the word itself.

     

    익숙한 최전선과 낯선 곳으로 헤이덕의 작품이 퍼져나가는 것은 정말로 희귀하고 예상할 없는 새를 쫓는 것이다. 새는 지구상의 모든 것들을 위하여 신중한 열정으로 맞춰진 일사에 무관심한 그런 새이다. 그의 작업은 오늘날 유기체에서 흘러나온 곳에서 회복의 영역을 가르키고 있다. 현실에서, 우리는 서로가 서로의 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숙주와 기생충 처럼 살아가고 있다인식의 저변에서 멀어지는 중에, 다른 곳은 아마도 마치 간에 기생충 혹은 몸안에서 정밀하게 기생하고 있는 기생충 처럼 나타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면화되는 과정에서, 건축의 바로 로고스(이성) 마치 극미한 기생충에 의해 키워진 것처럼 나타난다. 그러한 위기가 과거부터 예언되어져 왔다. 그러나 헤이덕은 이러한 감염의 과정을 건축의 동등함을 가진 것처럼 경험하는 독특함을 보였다. 자가 증식하는 건축은 단어자체의 병적측면에 반영했다.

     

     

    9/Paragraph

    헤이덕은 오염된 건축의 유전자 속에서 자기 정화의 역할로 마치 백혈구 처럼 건축의 썩어가는 환부를 도려내는 듯한 작품활동을 했다.

     

    This crisis appears in the Masques as the overtaking by the infinitesimal – through its concentration in the bloodstream of the architectural language – of the body and dwelling itself. And if architecture is not to appear as a mere function of this internment, having discovered its role in supplying invisible densities, then one would have to recognize in its being the character of immortal resistance: a molecule of hope lodged in the fibers of a nucleic medium. The lists that Hejduk provides as the scenography of this hope, like the age-old Summerian King’s Lists, only seek to account for those who would not expiate their guilt in order to absolve themselves of an elsewhere: though the latter do so in the form of a cosmic tale, the former in the manner of collaboration with a microcosmic tyranny ruling the organism.

     

    건축적 혈액순환에서 극소수자의 몸과 자체에 집중을 통해서 마스크에서 위기가 나타난다. 그리고 만약 건축이 보이지 않는 밀도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그것이 역할이 있음을 발견하면서, 이것이 상호간의 단순한 기능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그것이 불멸의 저항 자체라는 것을 인식해야 것이다: 그것은 핵심적 매개체의 줄기 안에 박혀 있는 희망의 분자이다. 헤이덕이 희망의 원근법으로써 제공한 마치 오래된 수메리안 왕의 목록과 같은 이것은 단지 그들 스스로 다른 곳에서 무죄임을 선언하기 위해 그들의 죄를 속죄하지 않는 사람들을 설명하는 것을 추구한다. (마치 살생부 같은)  비록 후자가 장대한 이야기 속에서 그렇게 할지라도 전자는 유기체를 관장하는 소우주의 압제와 함께 작업한 방식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